프랜차이즈 카페 창업보다 5배 좋은 소자본 창업 [3천만원으로 무인창업해서 월 순수익 200만원 세팅한 직장인] #30대자영업자 #무인가게 #무인아이스크림 #무인창업 #무인카페

본문 바로가기

소자본창업


소자본창업

프랜차이즈 카페 창업보다 5배 좋은 소자본 창업 [3천만원으로 무인창업해서 월 순수익 200만원 세팅한 직장인] #30대자영업…

Page info

Writer Date24-03-01 00:00 Hit36 Comment0

Body

3천으로 무인창업 후 1달 만에 월 순수익 200
* 재재신의 돈 되는 이야기
* https://blog.naver.com/lean-system
* 파이프라인, 창업, 부동산 컨텐츠를 다루고 있습니다.

✔️ 소개
안녕하세요. 무인매장 3채, 32개 호실을 운영하고 있는 11년차 공간임대업 대표이자 개업 3년차 공인중개사사무소 소장입니다.

저는 월 500만원 이상의 현금흐름이 일하지 않아도 발생하는 삶을 지향합니다. 다만 월 500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려면 연수익률 6%의 배당주를 10억 어치 들고 있거나 3%가 나오는 20억 짜리 건물을 가져야 합니다. 아니면 오백만 분의 일의 확률을 뚫고 연금복권 1등에 당첨되어야 합니다.

끊임없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법들을 갈구했고, 결국 무인사업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제가 제공하는 무인가게 관련 서비스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업그레이드될 것입니다.

대표 서비스 1) 창업 컨설팅, 가게 권리금 거래
대표 서비스 2) 상가 임대차 의뢰, 정비사업지 매매 의뢰
문의) https://blog.naver.com/lean-system

✔️ 업로드 영상 내용
오늘 소개해 드릴 케이스는 3달 전인 작년 11월에 창업을 진행했던 사례입니다.

관련 배경지식 제로인 상태에서 불과 3달 만에 월 200만원의 순수익이 나고 있는 무인 음악 연습실입니다.

이 시설은 총 9개의 개인연습실로 구성했고 창업비용은 3,300만원 정도 들어갔습니다.
심지어 이 금액에는 건물의 임대차보증금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12월 말에 시공을 마무리했고, 지금은 영업 개시 후 1달 정도 된 시점인데,
아직 입주 초기라서 전기세같은 공과금이 적게 나오긴 했지만 순수익으로 월 200만원 이상이 세팅됐습니다.

여기는 3,300만원 중에서 1,000만원은 대출을 썼기 때문에 연간 총수익률 70%, 자기자본수익률은 100%라는 결과를 내게 됐어요.

이렇게 세팅을 해두면 나중에 시설 권리금을 연수익률 30~35% 수준인 7천만원 정도로만 내놔도 금방 거래가 되기 때문에 이미 4천만원을 벌고 시작하게 된 셈이에요.
운영하는 동안의 캐시플로우는 당연하고 나가는 시점에 캐피탈게인까지 챙길 수 있는 구조인 것입니다.

보통 월 200정도 순수익 나오는 연습실 창업하려면 건물 보증금 포함해서 최소 8천만원에서 1억 2천 정도가 들어가게 되는데요.
처음엔 저도 이정도까지 세팅을 할 수 있을 거라곤 생각을 못했는데, 벌써 서울에서만 몇개째 반복적으로 확장을 하고 또 컨설팅까지 꾸준히 하게 되면서 노하우가 쌓이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늘 강조해서 말씀드리는 것처럼 이런 공간임대업은 지역 수급이랑 고정비 경쟁력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애초에 특정 조건이 충족이 안 되는 곳이면
무작정 컨설팅을 진행하기 보다는
그냥 하지 말라고 말씀드리거나, 다른 업종 알아보시라고 가감 없이 얘기해 드립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5,907 / 87 page
BBS Search

회원로그인

exr.kr

접속자집계

오늘
471
어제
558
최대
1,809
전체
691,340
상세보기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겜TV
haevich.kr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케이팝 위즈
manoinfo.com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짤방로그
parrot.or.kr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그누보드5
Copyright © manoinfo.com. All rights reserved.
Mail :
cs@epr.kr